한국민속학
-
한국 민속학 속 이인(異人), 전설로 전해진 신비한 존재들한국민속학 2025. 4. 20. 22:58
목차# 이인(異人)이란 누구인가?# 기남삼인(奇男三人)# 이상한 스님# 홍시(紅枾)# 엄진손가락 아이# 이인이 전하는 한국 민속의 지혜와 신비 이인(異人)이란 누구인가?한국 민속학 속에서 '이인(異人)'이란, 일반적인 인간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능력이나 성질을 지닌 존재로, 오래전부터 민간 신앙과 전승 설화 속에서 끊임없이 회자하여 온 인물 유형이다. 이들은 일상적 규범을 넘어서며, 때로는 신의 계시를 받고 병을 고치거나 미래를 내다보는 예지력을 발휘하는 초월적 존재로 그려진다. 민간 사회에서는 이러한 이인을 단순한 괴짜나 이상한 인물이 아닌, 경외의 대상으로 바라보았고, 어떤 경우에는 마을의 문제를 해결하는 구세주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했다. 특히 무속적 세계관에서는 무당이나 영매처럼 신과 인간 사..
-
한국 민속학 속 점복 인간과 운명을 잇는 민속의 지혜(2)한국민속학 2025. 4. 19. 23:36
목차#점복의 결합 - 세시풍속 #점복설화 – 점복이 이끄는 이야기#점복, 현대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점복, 삶과 다시 마주하는 작은 전환점 점복의 결합 - 세시풍속세시풍속은 단순한 절기 의례나 계절 행사로만 이해되지 않는다. 그 안에는 점복이 내포된 세계 인식과 자연 이해 방식이 함께 자리하고 있으며, 이는 전통 한국 사회에서 인간과 자연, 신비와 경험이 어떻게 연결되었는지를 보여주는 민속적 삶의 해석 체계라 할 수 있다. 특히 점복은 세시풍속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정해진 시기에 관찰되는 자연의 징후와 인간 행동을 통해 공동체의 미래를 예측하고 해석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정월 초하루에는 새해의 첫날이라는 상징성과 함께, 날씨의 밝고 흐림, 동물의 울음소리, 첫 방문자의 성격 등 다양한 요소가 점복..
-
한국 민속학과 설화 속의 신비한 요괴 이야기한국민속학 2025. 4. 19. 18:20
목차# 청년의 정기를 빼앗는 천 년 묵은 여우, 마구# 솜털 같은 버들강아지 벌레# 고목에 깃든 불 밝히는 요괴 # 무엇이든 먹어 치우는 불가사리# 금빛 샘물과 신비로운 전설, 금정산 범어사# 요괴 설화를 통해 바라본 우리 민족의 상상력 청년의 정기를 빼앗는 천 년 묵은 여우, 마구매구는 한국 민속학에서 천 년을 산 여우가 변신했다고 전해지는 전설 속의 요괴이다. 주로 소복을 입은 처녀의 모습으로 나타나 길을 잃은 청년들을 유혹하여 그들의 정기를 빼앗는다고 한다. 매구에게 정기를 빼앗긴 청년은 점점 쇠약해지며 결국 목숨까지 잃게 된다. 그러나 많은 이야기에서는 피해자가 죽기 전에 부모나 스승이 미리 매구의 존재를 알아채고 퇴치하여 위기를 벗어나게 한다고 전해진다. 특히 매구는 한밤중에 몰래 나와 가축의..
-
한국 민속학 속 은어와 비속어, 민속문화 속 숨겨진 언어의 세계한국민속학 2025. 4. 18. 13:43
목차#은어와 비속어, 그 개념과 차이# 은어와 비속어의 형성과 언어학적 배경# 은어와 비속어의 역사적 전개# 현대사회에서 은어와 비속어의 민속적 가치와 재해석 은어와 비속어, 그 개념과 차이 한국 민속학 속 민속문화에서의 언어는 단순한 소통을 넘어, 공동체의 정체성과 내부 결속을 드러내는 강력한 수단으로 기능해 왔다. 이러한 민속에 중에서도 **은어(隱語)**와 **비속어(卑俗語)**는 유사한 맥락에서 자주 언급되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사회적 배경과 목적을 지닌다. 은어는 그 기원 면에서 볼 때 **구어(口語)**에서 분화된 표현으로, 주로 비밀 유지나 집단 내부의 유대감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범죄 집단이나 도둑, 소매치기 집단 등에서 외부인의 접근을 막기 위한 은폐 수단으로 발달하였으..
-
한국 민속학 속 사실과 상상의 경계-"전설이란 무엇인가"한국민속학 2025. 4. 17. 21:49
목차# 한국민속학의 전설의 구조적 특징#전설의 갈래 개념과 증거물의 기능#전설의 초월적 경이와 증거물의 상호작용#전설의 역사적 성격과 한국민속학적 의미 한국 민속학 전설의 구조적 특징전설의 독자성은 세계관적 특성과 문화적 형상성의 미묘한 구조에서 뚜렷하게 드러난다. 한국 민속학에서 전설의 구조적 특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이야기꾼의 '의식'과 '표현'에 관한 구조적 관계이다. 이야기꾼은 전설을 사실로 인식하며 이야기하지만, 실제로 표현되는 줄거리는 사실로 믿기 어려운 내용을 담고 있다. 전설 속에는 초월적 경이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한국 민속학에서 이야기꾼은 전설 속에 담긴 초월적 경이를 사실로 받아들이며 그것을 전달하고자 하며, 이에 따라 전설은 '의식과 표현의 대립적 구조'를..
-
한국민속학 속 한국 신화, 상징과 세계관으로 읽는 우리 민족의 이야기한국민속학 2025. 4. 16. 15:56
목차#한국 민속학 속 신화의 분류와 의미#신화의 원형과 한국신화의 세계상 #지역에 따라 전승된 한국신화 # 지금의 신화의 존재하는 의미 한국 민속학 속 신화의 분류와 의미 세계적으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신화에 대한 다양한 분류 방식이 제시되어 왔지만, 한국 민속학에서 신화를 분류하는 데 보편적 체계를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한다. 왜냐하면 신화는 단순히 이야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의 전통과 문화가 살아 숨 쉬는 전승 현장을 바탕으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문화권에서는 신화로 분류되는 이야기가, 다른 문화권에서는 전설이나 민담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한국신화에 대한 분류 역시 몇몇 연구자에 의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외국의 분류 방식, 특히 일본의 신화 분류체계를 그..
-
설화로 읽는 한국 민속학의 심층 구조-신화, 전설, 민담의 상징과 의미한국민속학 2025. 4. 15. 23:55
목차# 설화란 무엇인가 – 민중의 입에서 태어난 이야기의 구조# 설화의 주요 특징 – 구전성과 개방성 속에서 살아 있는 문학# 설화의 문화적 의미 – 전통을 이해하는 민속학적 열쇠# 설화의 유형과 그 속에 담긴 민속적 상징과 기능 설화란 무엇인가 – 민중의 입에서 태어난 이야기의 구조 설화(屑話)는 글자 그대로 '이야기'를 의미하지만, 일상적인 수다나 단순한 사실 전달과는 확연히 구별된다. 설화로 읽는 한국 민속학의 일정한 서사 구조를 갖춘 꾸며낸 이야기로,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서사적 창작물이다. 문자가 사용되기 이전부터 인간은 말과 이야기로 삶을 공유해왔으며, 설화는 이러한 문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탄생했다. 이야기를 꾸며내는 행위는 단지 상상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청자와 화자 모두가 현실..
-
한국 민속학 속 민속신앙의 ‘강(講)’과 ‘강신(降神)’ 의례-하늘에서 신이 내려 오는 순간한국민속학 2025. 4. 14. 10:10
목차# 강(講)이란 무엇인가?# 강신(降神)이란 무엇인가?# 지역의 사례# 강신의 상징성과 민속적 의미 강(講)이란 무엇인가? 제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제관들이 제의의 진행을 미리 연습하는 절차를 '강(講)'이라 한다. 제의에 앞서 마을 회의를 통해 제관과 집사를 선정하는데, 이들은 당해 연도의 생기를 고려하여 선발되며, 그중에는 처음 제관 또는 집사로 지명되는 사람도 있다. 처음 참여하는 이들은 제의 중 실수를 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사전에 연습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제관과 집사의 역할을 세분화하여 정리한 것을, 동해시 옛 북평읍 지역에서는 ‘마련 방’이라고 부른다. 제관 등은 마련 방에 제시된 역할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며, 이를 '마련 방 강'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