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신앙
-
한국 민속학 속 민속신앙의 ‘강(講)’과 ‘강신(降神)’ 의례-하늘에서 신이 내려 오는 순간한국민속학 2025. 4. 14. 10:10
목차# 강(講)이란 무엇인가?# 강신(降神)이란 무엇인가?# 지역의 사례# 강신의 상징성과 민속적 의미 강(講)이란 무엇인가? 제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제관들이 제의의 진행을 미리 연습하는 절차를 '강(講)'이라 한다. 제의에 앞서 마을 회의를 통해 제관과 집사를 선정하는데, 이들은 당해 연도의 생기를 고려하여 선발되며, 그중에는 처음 제관 또는 집사로 지명되는 사람도 있다. 처음 참여하는 이들은 제의 중 실수를 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사전에 연습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때 제관과 집사의 역할을 세분화하여 정리한 것을, 동해시 옛 북평읍 지역에서는 ‘마련 방’이라고 부른다. 제관 등은 마련 방에 제시된 역할을 반복적으로 연습하며, 이를 '마련 방 강'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시중..
-
한국 민속학에서 굿과 마을 공동체, 그리고 민속신앙의 지속한국민속학 2025. 4. 13. 23:58
목차# 이름에 담긴 기억: 부군당, 부근당, 그리고 신의 이름들# 남근목과 풍요의 상징 # 언덕 위의 초가 혼령을 모신 자리# 정월굿과 주민의 기원, 공동체가 만든 집 한국 민속학 속 이름에 담긴 부군당, 부근당, 그리고 신의 이름들 한국 민속학 속 이름에 담긴 기억: 부군당, 부근당, 그리고 신의 이름들 부군당은 한국 민속학 속 민속신앙 속에서 깊은 뿌리를 지닌 존재로, '부군 할아버지', '부군 할머니', 또는 '부군마저'로 불리며 마을을 수호하는 신으로 여겨진다. 서울 지역의 무당들은 부군을 도당보다 상위 신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는 보다 넓은 지역을 관장하는 신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부군당은 '府君堂'이라는 한자로 표기되며, 이 명칭은 관아 또는 관직을 상징하는 '부군(府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