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한국 민속학 속 판소리의 잊힌 열두 마당
    한국민속학 2025. 4. 10. 00:10

    목차

    #잊힌 열두 마당, 그 시작과 흔적을 따라

    #‘심청가’의 울림 – 효의 미학과 여성 서사의 깊이

    #『수궁가』의 해학 – 풍자의 전통과 민중적 상상력

    #『흥부가』 – 민중의 희망과 풍자의 정수

    #잊힌 마당들의 복원과 판소리의 미래

     

     

    한국민속학 판소리

     

    잊힌 열두 마당, 그 시작과 흔적을 따라

     

    한국 민속학에서 본 조선 후기, 판소리는 단순한 민중 오락을 넘어서 삶의 고통과 소망을 노래하는 서사 예술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이 예술의 정수는 바로 ‘열두 마당’에 담겨 있었다. 1843년 송만재의 『관우희』에서 처음 그 목록이 정리된 것으로 보이며, 당시의 기록에는 춘향가·심청가·홍보가·수궁가·적벽가·변강쇠타령·배비장타령·강릉매화타령·옹고집타령·장끼타령·왈짜타령·가짜신선타령이 등장한다. 이 열두 마당은 19세기까지는 구전되며 사랑받았지만, 시대의 변화 속에서 일부는 소멸하거나 고소설로 흡수되었고, 현재는 신재효가 정리한 여섯 마당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김한선과 김종철 같은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사라졌던 몇몇 마당의 사설도 복원되며 다시 공연할 수 있는 형태로 부활하고 있다.


    ‘심청가’의 울림 – 효의 미학과 여성 서사의 깊이

    『심청가』는 단순히 효녀의 이야기 그 이상이다. 80여 종이 넘는 이본이 존재하며, 창 본과 소설 본으로 나뉘는 다양한 전승 형태를 보여준다. 특히 효도와 희생, 구원과 자아 회복이라는 복합적 주제를 담아내며, 조선 후기 민중들의 신앙적 열망과 사회적 고통을 치유하고자 했던 서사 구조가 돋보인다. ‘범피중류’, ‘부녀이별’ 같은 대목은 감정을 강하게 이끌며 관객과의 정서적 연결을 가능케 한다.
    현대에 이르러 『심청가』는 국립창극단, 전통예술 단체들에 의해 창극으로도 재해석되어 무대에 오르며 대중에게 꾸준히 소개되고 있다. 특히 전라도 지역의 동편제는 투박하고 힘 있는 창법으로 심청의 고난을 강하게 표현하고, 경상도 서편제는 감정의 섬세한 곡선으로 눈물짓게 만든다.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던 중고제는 현재 단절되었지만, 복원 시도도 이어지고 있다. 지역별 창법의 특색은 『심청가』가 단순한 이야기 이상의 한국 민속학 속 문화적 자산임을 보여준다.



    『수궁가』의 해학 – 풍자의 전통과 민중적 상상력

    토끼와 자라, 용왕이 벌이는 기상천외한 이야기로 잘 알려진 『수궁가』는 단순한 동물 이야기가 아니다. 그 안에는 충성과 지혜, 풍자와 해학이 뒤섞인 복합적 메시지가 담겨 있다. 인도 불교의 본생담에서 유래되어 조선 후기 불경과 설화를 통해 정착한 이 작품은, 처음엔 ‘토끼타령’이라 불렸다.
    『수궁가』는 시대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낳았는데, 자라의 충성을 강조한 전통적 해석 외에도 봉건 권력의 위선을 풍자한 사회비판적 시선이 존재한다. 특히 **서편제의 『수궁가』**는 섬세한 감정선 속에서 자라의 고뇌와 계략을 더 진지하게 풀어내며, 동편제에서는 박진감 있는 전개로 관객의 웃음을 유도하는 창법이 인상적이다. 오늘날 이 작품은 창극으로도 자주 무대에 오르며, 초·중등 교육에서도 교육용 콘텐츠로 활용되어 새로운 세대와도 소통하고 있다.



    『흥부가』 – 민중의 희망과 풍자의 정수

    『흥부가』는 판소리 열두 마당 중 하나로, 현재까지 창과 사설이 온전히 전승된 여섯 마당 중 하나입니다. 원래는 『박흥보던』이라는 고소설에서 유래했으며, 19세기 중엽 신재효가 정리한 여섯 마당에 포함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작품은 형제간의 갈등, 권선징악, 탐욕과 정의의 대비라는 보편적 주제를 담고 있으면서도, 당시 조선 민중의 현실을 반영한 풍자와 해학이 풍부하게 담겨 있습니다.
    이야기의 핵심은 ‘흥부’가 제비를 구해 복을 받고, ‘놀부’는 욕심으로 벌을 받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도덕 교훈을 넘어서 빈곤한 삶을 살아가는 민중의 소박한 소망과 삶의 아이러니를 유쾌하게 풀어낸 작품이라는 점에서 높은 예술성과 사회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박 타는 대목”, “놀부 제비 몰아내는 대목” 등은 관객에게 큰 웃음을 선사하며 판소리 특유의 골계미가 극대화된 부분입니다.

     


    『옹고집타령』 – 고집불통의 시대 풍자극

    『옹고집타령』은 판소리 열두 마당 중 하나로 전해지지만, 현재는 사설 일부만 전해지고 창 본 전승은 거의 단절된 상태입니다. 고소설 『옹고집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작품은 고집이 세고 이기적인 ‘옹고집’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그는 남을 무시하고 제멋대로 행동하다가, 자신과 똑같이 생긴 또 다른 ‘옹고집’이 등장하면서 결국 혼이 나고 개심하는 이야기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도플갱어(분신) 개념과 유사한 이야기 구조로 인해 극적 장치가 풍부하며, 인간의 아집과 권력욕, 지배욕에 대한 해학적 풍자를 담고 있어 현대적 감각으로도 매우 신선한 소재입니다. 특히 혼란과 반성의 과정을 유쾌하게 풀어낸 부분은, 일상 속 교만한 권위와 편협한 이기주의에 대한 통쾌한 풍자로 받아들여지기도 합니다.


    잊힌 마당들의 복원과 판소리의 미래

     

    현재 판소리 열두 마당 중 정식 무대에서 공연되는 것은 주로 여섯 마당에 국한되지만, 학계와 예술계에서는 나머지 마당의 복원과 재해석에 꾸준히 힘을 쏟고 있다. 강릉매화타령과 왈짜타령은 최근 발굴되어, 사설 정리가 완료되었고 실제 공연으로 이어질 준비가 되어 있다. 이렇듯 판소리는 단순히 과거의 전통이 아닌 ‘지금도 살아 있는 예술’이다. 더불어 각 지역 명창의 계보는 판소리의 흐름을 계승하는 살아 있는 문화자산이며, 창극·뮤지컬·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장르와의 융합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판소리는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를 그대로 품은 서사이며, 미래 세대에게도 충분히 사랑받을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예술이다. 잊힌 마당이 다시 울려 퍼지는 날, 우리는 우리의 뿌리를 다시 한번 되새기게 될 것이다.




    감사합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