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예능
-
판소리 고수, 한국 민속학이 말하는 민속예술의 숨은 주역한국민속학 2025. 4. 26. 22:10
목차#고수, 판소리 무대를 완성하는 또 하나의 주체# 고수의 섬세한 예술성과 고법의 민속적 의미# 고수의 장단 운용과 몇 고수들의 민속적 계보# 고수의 현대적 재해석과 민속예술의 지속 가능성고수, 판소리 무대를 완성하는 또 하나의 주체한국 민속학에서 민속 예능을 논할 때, 판소리는 단연 빠질 수 없는 대표적 전통 예술이다. 그중에서도 판소리 공연에서 장단에 맞추어 북을 치는 사람, 즉 고수는 공연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 존재로 평가된다. 고수는 단순한 반주자가 아니라 소리꾼과 함께 무대를 이끌어가는 공동 창조자다.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일고수이명창(一鼓手二名唱)" 또는 "구고수 암명창(九鼓手 暗名唱)"이라는 말은 이를 잘 보여준다. 이는 고수의 역할이 명창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