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속신앙
-
무속은 살아 있다 – 한국 민속학에서 본 무당의 변주한국민속학 2025. 5. 4. 10:58
목차# 맹인 판수 – 시각을 넘어선 무속의 지혜# 앉은굿과 독경 중심의 법사 – 현대 무속에서 이어진 수행자의 또 다른 형상 # 몸 주신의 차이에 따른 무당의 분화 – 전내와 태조의 신령 체계 #무속 주체의 분화 맹인 판수 – 시각을 넘어선 무속의 지혜 한국 민속학에서 무속의 주체를 이야기할 때, 대개 여성 무당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 무속 신앙의 현장에는 남성 중심의 전문 인물들도 다수 존재했다.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맹인 판수'이다. 맹인 판수는 조선 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우리 민속 신앙 속에서 독특한 지위를 차지했던 무속 실천가로, 시각장애를 지닌 남성들이 도교적 경문을 독경하고, 의례를 집행하여 병을 고치고 액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했다. 일제강점기의 민속조사 보고서에는 이들에 대..
-
한국 민속학으로 무속과 그 사이에서 살아가는 무당의 민속적 삶한국민속학 2025. 5. 3. 23:58
목차# 한국 민속학 속 무당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모순된 태도# 바리데기 신화와 무당의 정체성# 무당의 결혼과 거주 – 경계 위에 선 삶의 자리# 무당 집안사람들의 직업 – 전승인가, 단절인가 한국 민속학 속 무당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모순된 태도 사람들은 평소에는 무당을 멀리하면서도, 삶의 중요한 순간이나 절박한 위기 상황에 부닥쳤을 때는 가장 먼저 무당을 찾는다. 마음의 평안을 빌고 싶을 때, 가정의 안녕이나 자식의 성공을 기원하고 싶을 때, 농사의 풍년과 바다의 풍어를 기도할 때, 혹은 가까운 가족의 죽음을 맞이하여 그 영혼이 좋은 곳으로 가기를 바랄 때, 사람들은 무당을 청해 굿을 올린다. 객사하거나 물에 빠져 죽은 이의 영혼을 위로하거나, 이유 없이 계속되는 병이나 우환이 있을 때도 마찬가지..
-
한국민속학으로 본 무당의 다층적 구조와 민속신앙의 확장성한국민속학 2025. 4. 30. 12:54
목차# 한국 민속학에서 본 무당 호칭의 지역적 다양성과 민속적 상징성# 한국 민속학에서 본 강신무와 세습무의 이원적 구조와 지역 신앙 체계의 반영# 세계 민속신앙 속 강신무와 세습무의 공존 양상 – 한국민속학의 비교 민속적 접근 # 행위 방식으로 본 무당의 분화 – ‘춤추는 무당’과 ‘춤추지 않는 무당’의 민속학적 해석 한국 민속학에서 본 무당 호칭의 지역적 다양성과 민속적 상징성 한국 민속학에서 무당이라는 존재는 단순한 종교적 매개자에 머무르지 않고, 지역 사회 내 민간 신앙의 중심축으로 작용해 왔다. 특히 주목할 점은 전국적으로 존재하는 이 공통된 신앙 주체가 지역에 따라 전혀 다른 명칭으로 불리며, 그 호칭에는 각 지방의 신앙 체계, 사회적 구조, 문화적 위계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는 점이다.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