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소리
-
한국 민속학 속 판소리의 잊힌 열두 마당한국민속학 2025. 4. 10. 00:10
목차#잊힌 열두 마당, 그 시작과 흔적을 따라#‘심청가’의 울림 – 효의 미학과 여성 서사의 깊이#『수궁가』의 해학 – 풍자의 전통과 민중적 상상력#『흥부가』 – 민중의 희망과 풍자의 정수#잊힌 마당들의 복원과 판소리의 미래 잊힌 열두 마당, 그 시작과 흔적을 따라 한국 민속학에서 본 조선 후기, 판소리는 단순한 민중 오락을 넘어서 삶의 고통과 소망을 노래하는 서사 예술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이 예술의 정수는 바로 ‘열두 마당’에 담겨 있었다. 1843년 송만재의 『관우희』에서 처음 그 목록이 정리된 것으로 보이며, 당시의 기록에는 춘향가·심청가·홍보가·수궁가·적벽가·변강쇠타령·배비장타령·강릉매화타령·옹고집타령·장끼타령·왈짜타령·가짜신선타령이 등장한다. 이 열두 마당은 19세기까지는 구전되며 사랑받..